용산전자상가 일대, 국제업무지구와 연계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

서울시는 오랜 세월 황금기를 보냈으나 산업트렌드의 변화와 노후화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용산전자상가'일대를 용산정비창에 조성되는 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하여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한 신산업 혁신 지역으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용산전자상가 일대와 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 방안(자료:서울시)
용산전자상가 일대와 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 방안(자료:서울시)

서울 용산전자상가의 변신,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

용산전자상가는 1985년, 기존 용산 양곡도매시장의 이전에 따라 전기·전자 업종을 육성한다는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조성됐다. 이후 1990년대 컴퓨터(PC) 보급 확산으로 호황기를 맞았으나 2000년대 들어 모바일 기기와 온라인 쇼핑 유행 등 산업 트렌드가 변화하고 시설 노후화로 활발했던 상권이 크게 떨어졌다.
20년전만 해도 "용산전자상가"하면 우리나라의 IT산업의 중심으로 최신들의 전자제품, 컴퓨터관련, 소프트웨어등 IT제품들에 대해선 없는게 없어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IT직종 종사자들까지도 용산전자상가를 방문해 언제나 활발했던 것으로 기억 된다.
그러나 지금은 '나진상가'를 기준으로 준공 후 최대 50년된 시설노후화와 평균 공실률이 2017년 23%에서 2021년 58%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상권이 크게 떨어지고 쇠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2021년 용산 정비창 부지와 용산전자상가를 연계해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용역을 발주하여 용산전자상가와 국제업무지구의 연계 발전을 모색하는 한편, 서울시의 최상위 공간계획인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올해 초 확정하면서 용산 전자상가 일대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구체적 실행계획을 이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전자상가 일대 연계 

사업배경(자료:서울시)
용산전자상가의 현황 진단

서울시는 1990년대 서울을 대표하는 전자산업의 유통・제조・판매 거점으로 용산전자상가 내 부품, 판매, 유통, 수리 등의 기존 산업기반이 국제업무기능과 접목될 경우, 새로운 형태의 창조적 산업 생태계가 구축될 수는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고 과거 전자산업의 메카였던 용산전자상가의 탄탄한 산업기반과 국제 비즈니스 중심지로 개발 예정인 국제업무지구와의 인접성에 주목했다고 한다.

이에 용산 전자상가 일대를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신산업 혁신지역으로 육성하여 일자리, 주거, 녹지공간이 어우러지는 융복합 도시공간으로 조성하는 한편, 국제업무지구와의 인접한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국제업무지구에 대한 지원 및 보완 기능으로서 용산 전자상가의 역할을 기대해 정보통신기술(ICT) 신산업 육성, 지역수요 주거, 입체보행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하여 기능적・공간적으로 연계해 역할을 분담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건축계획 및 가이드라인

이를 위해 신산업용도를 연면적의 30% 이상 의무 도입하고, 이에 상응하는 공공기여기준은 평균 27%에서 평균 18%로 완화하여(30%완화) 공공 기여에 대한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그리고, 녹지공간 조성 및 저층부 연계를 통해 열린 녹지네트워크를 조성하는데 용산전자상가 일대를 국제업무지구와 용산역과 연결된 녹지율 50% 이상의 녹지공간으로 조성한다.

또한, 직주혼합 실현을 위해 주거용 건축을 허용(용적률의 50% 이하)하되, 주거시설 중 일정부분은 중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하고, 일정부분은 창업지원주택 등으로 특별공급하는 도심형 복합주거를 공급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전자상가 일대를 창의적인 친환경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해 창의혁신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제로에너지빌딩(ZEB) 등 에너지 관련 친환경 기준을 준수할 경우 1,000% 이상의 건축도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적용할 예정이다.
사업 조감도(자료:서울시)
사업 조감도(자료:서울시)

이렇게 정부의 용산시대에 마지막 보루인 용산전자상가와 국제업무지구의 미래 비전·전략과 함께 구체적인 개발구상을 제시 함으로써 일자리+주거+녹지공간 이 어우러지는 융합복합도시공간으로 재탄생이 기대된다. 또한, 쇠퇴한 용산전자상가로 인해 침체해 있던 주변지역의 정비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