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단지 관리비를 확인하는 사이트가 있다,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이용방법

여러분 우리아파트 관리비를 볼수 있는 사이트를 아십니까? 매월마지막주면 어김없이 우편함에 꽂아있는 관리비내역서를 보셨을겁니다. 우리 아파트의 단지 기본정보에서부터 관리비, 승강기 유지관리이력까지 우리 아파트에 대해 모르는게 없는 사이트 K-apt를 소개합니다.
우리단지 관리비를 확인하는 사이트가 있다,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우리단지 관리비를 확인하는 사이트가 있다

    K-apt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

    우리나라 국민의 약 70%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에, 관리비 분쟁이 발생하거나 오래된 공동주택의 유지관리이력의 관리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불필요한 중복공사 및 관리비 비리근절을 위한 관리정보 투명성을 제고하고 아파트 관리비 및 공사·용역 입찰 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부동산원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즉, 공동주택 관리비의 투명성 제고 및 건전한 관리문화 정착도모를 위해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관리비 등과 유지관리이력, 입찰정보, 외부회계감사 결과 등 공동주택관리 정보를 공개하고, 전자입찰을 운영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우리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를 확인해 보세요.

    [K-apt 바로가기]


    - 주요 공개 내용

    * 관리비 공개: 관리비 등 47개 항목 공개·비교를 통한 관리 투명성 제고
    * 입찰공고 및 결과 공개: 공동주택 관리업자 선정 및 구매·공사 등 입찰시스템 구축제공 및 입찰결과 공개를 통한 비리 차단 기여
    * 외부회계감사 결과 공개: 단지별 외부회계감사결과를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공개
    * '15년도 부터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단지 의무시행
    * 시설물 유지관리 이력정보 공개: 공사내용, 위치, 기간, 계약금액 등 유지관리 이력 공개를 통한 주택품질 강화 및 장수명화 기여
    * 단지 기본정보 공개: 사용승인일, 단지유형, 난방방식, 주거전용면적, 동수, 세대수 등 공개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 관리비 공개 의무단지

    공동주택 관리비 투명성 확보를 위해 '공동주택관리법'에 의거하여 300세대이상 공동주택, 150세대이상으로서 승강기 설치 또는 중앙(지역)난방방식의 공동주택, 주택이 150세대이상인 주상복합아파트, 그 외 입주자등이 2/3이상 서면동의하여 의무관리대상으로 전환한 공동주택, 공공임대 및 민간임대주택이 이에 해당 됩니다.

    - 유지관리이력이란?

    건물 내·외부의 수선, 전기·소화·승강기 등의 수리, 급수·위생·가스 하자보수등의 유지관리이력 정보를 말합니다.

    - 지도에서 관리비 찾기 및 비교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지도상에 부동산원이 보유한 관리비 정보를 배치하여, 월별·지역별·면적별 유사단지의 관리비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지도상에서 확인·비교할 수 있습니다.

    K-apt,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이용방법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사이트접속(www.k-apt.go.kr) 또는 부동산시세, 실거래가, 공시가격등 유용한 부동산 가격정보와 거래도우미등 다양한 부동산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확인하실수 있는 앱인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을 통하여 누구든지 쉽게 k-apt의 아파트관리비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K-apt 바로가기]